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역사와 교리
1. 안식교의 기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이하 '안식교')는 19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된 재림운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운동의 시작은 윌리엄 밀러(William Miller, 1782-1849)의 재림 예언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윌리엄 밀러의 재림 예언
윌리엄 밀러는 성경, 특히 다니엘서를 연구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시기를 계산했습니다. 그는 다니엘서 8장 14절의 "2300주야"를 2300년으로 해석하고, 이 기간이 끝나는 시점을 예수님의 재림 시기로 보았습니다.
"그가 내게 이르되 이천삼백 주야까지니 그 때에 성소가 정결하게 되리라 하였느니라" (다니엘 8:14)
출처 입력
밀러는 이 2300년의 시작점을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가 예루살렘 재건을 명령한 기원전 457년으로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그는 1843년 3월 21일에서 1844년 3월 21일 사이에 예수님이 재림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
대실망 사건
그러나 밀러가 예언한 기간 동안 예수님의 재림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이후 밀러의 추종자들 중 일부가 재계산을 통해 1844년 10월 22일을 새로운 재림 날짜로 제시했지만, 이 날 역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대실망"(The Great Disappointment)으로 불리며, 많은 신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2. 안식교의 형성
대실망 사건 이후, 일부 신자들은 밀러의 해석이 완전히 틀렸다고 보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1844년 10월 22일에 무언가 중요한 일이 일어났지만, 그것이 지상이 아닌 하늘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재해석했습니다.
히람 에드슨의 "성소 정결" 해석
히람 에드슨(Hiram Edson)은 1844년 10월 22일 이후 옥수수 밭을 걸어가던 중 환상을 보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예수님이 그날 지상으로 오신 것이 아니라, 하늘 성소의 첫 번째 방(성소)에서 두 번째 방(지성소)으로 이동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이 해석은 히브리서의 구절들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참 것의 그림자인 손으로 만든 성소에 들어가지 아니하시고 오직 하늘에 들어가사 이제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 앞에 나타나시고" (히브리서 9:24)
출처 입력
"그러므로 하늘에 있는 것들의 모형은 이런 것들로써 정결하게 할 필요가 있었으나 하늘에 있는 그것들은 이런 것들보다 더 좋은 제물로 할지니라" (히브리서 9:23)
출처 입력
조셉 베이츠와 안식일 교리
조셉 베이츠(Joseph Bates)는 안식교의 또 다른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는 제칠일 안식일(토요일)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베이츠는 출애굽기 20장의 십계명 중 넷째 계명을 강조했습니다: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일곱째 날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나 네 남종이나 네 여종이나 네 가축이나 네 문안에 머무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출애굽기 20:8-10)
출처 입력
베이츠는 이 계명이 여전히 유효하며, 그리스도인들도 제칠일 안식일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엘렌 G. 화이트의 역할
엘렌 G. 화이트(Ellen G. White, 1827-1915)는 안식교의 형성과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그녀는 여러 차례 환상과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통해 안식교의 교리와 실천을 형성했습니다.
화이트는 자신의 저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의 증거를 지키는 남은 자손이 있음을 보았다. 그들은 하늘을 바라보고 있었으며, 영광스러운 그들의 구주의 재림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러한 화이트의 가르침은 안식교의 핵심 교리인 "남은 자손" 개념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3. 안식교의 주요 교리
3.1 안식일 준수
안식교는 제칠일 안식일(토요일)을 엄격히 지킵니다. 그들은 이것이 창조 때부터 하나님이 정하신 거룩한 날이라고 믿습니다.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창세기 2:2-3)
출처 입력
안식교는 일요일 예배를 드리는 다른 교단들을 비판하며, 이를 "짐승의 표"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3.2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안식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문자적이고 가시적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들은 재림이 임박했다고 보며, 이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 (마태복음 24:14)
출처 입력
3.3 조사 심판
안식교는 1844년 10월 22일부터 예수님이 하늘 성소에서 "조사 심판"을 시작했다고 믿습니다. 이 기간 동안 예수님은 모든 사람의 행위를 조사하여 누가 구원받을 자격이 있는지 판단한다고 봅니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이 공평하여 각 사람에게 그 행한 대로 보응하시되" (로마서 2:6)
출처 입력
3.4 영혼 수면설
안식교는 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무의식 상태로 잠든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부활 때까지 영혼이 천국이나 지옥에 가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산 자들은 죽을 줄을 알되 죽은 자들은 아무것도 모르며 다시는 상도 받지 못하는 것은 그들의 기억이 잊어버린 바 됨이라" (전도서 9:5)
출처 입력
3.5 건강 개혁
안식교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강조합니다. 많은 안식교인들이 채식주의를 실천하며, 술과 담배를 금합니다.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 자신의 것이 아니라" (고린도전서 6:19)
출처 입력
4. 안식교에 대한 비판과 논란
4.1 엘렌 G. 화이트의 권위
많은 비평가들은 안식교가 엘렌 G. 화이트의 저술을 성경과 동등한 권위로 취급한다고 비판합니다. 그러나 안식교는 공식적으로 성경만이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규범이라고 주장합니다.
4.2 율법주의 논란
안식일 준수와 건강 개혁 등의 강조로 인해 안식교가 율법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안식교는 이러한 실천이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라고 주장합니다.
4.3 예언 해석의 문제
1844년의 "대실망" 사건과 그 이후의 재해석에 대해 많은 비판이 있습니다. 비평가들은 이를 성경의 잘못된 해석이라고 지적합니다.
5. 현대 안식교의 활동
5.1 세계 선교
안식교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212개국에서 535개의 언어로 선교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5.2 교육 사업
안식교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학교와 대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들의 신앙과 가치관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5.3 의료 사업
안식교는 많은 병원과 의료 시설을 운영하며,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강조하는 그들의 신념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결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19세기의 재림운동에서 시작되어 독특한 교리와 실천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안식일 준수, 예수 재림에 대한 강조, 조사 심판 교리, 건강 개혁 등이 그들의 특징적인 가르침입니다.
안식교는 많은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지만,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 단체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들의 교육, 의료, 선교 활동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기독교 교단들과 마찬가지로, 안식교 역시 성경 해석과 교리적 문제들에 대해 계속해서 도전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안식교는 그들의 신념을 지키면서도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 나가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성경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단상_예수님의 12제자들 (1) (0) | 2024.10.20 |
---|---|
오늘의 단상_영적 부흥과 성장 (4) | 2024.10.19 |
오늘의 단상_성경이 어떻게 우리손에 (2) | 2024.10.19 |
오늘의 단상_가르침 비교 (예수님, 사두개인, 바리새인) (3) | 2024.10.18 |
오늘의 단상_그리스도교리의 초급반, 고급반 (2) | 2024.10.18 |